|
유
|
①백성들에게 꾸어주지 않고 사창에 남겨 둔 환곡. ②유수(留守)를 줄여 이르는 말. |
|
|
|
머무름
|
지구에서 행성 등 태양계 천체를 보고 있을 때 적경방향의 변위가 보이지 않게 되는 것. 또는 그 시각. 단 적경은 지심으로부터 잰다. 지구와 행성을 잇는 선이 한쪽 궤도의 접선이 되어 있을 때 일 |
|
|
|
유
|
유(stationary point)는 천구 상에서 행성의 겉보기 운동이 역행(retrograde motion)에서 순행(prograde motion)으로 바뀌거나, 순행에서 역행으로 바뀌려는 순간 배경 별자리에 대해 잠시 이동을 멈추는 지점이다 |
|
|
|
유
|
5대 모본왕(慕本王) 휘(諱)의 다른 적음이다. |
|
|
|
유지지 세우기 (진도)
|
[정의] 정월 대보름에 소나무로 만든 유지짓대를 집안에 세우는 풍습. [명칭유래] 유지지는 그 어원을 알 수는 없지만, 일명 유조지(留鳥枝)라고도 한다. 유조지란 새가 머무는 나뭇가지라는 뜻으로 |
|
|
|
초혼제일경
|
「초혼제일경」은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소설로, 곡마단의 17세 소녀 오미쓰(お光)의 고독, 비애로 가득 찬 삶을 그리고 있다. 1.작품해설 2.등장인물 3.작품 줄거리 4.작품 속의 명문장 5.작품읽기 & |
|
|
|
쌍기둥무덤
|
[청룡(靑龍, Blue Dragon)] 동쪽 벽의 절반 정도는 완전히 떨어져 나갔고, 오른쪽만이 희미한 모습으로 남아 있다. 남아있는 부분에서 이 벽에 그린 청룡의 머리와 앞다리를 겨우 확인할 수 있다. 따라 |
|
|
|
문석준
|
[주요활동] 1920년대 강연 활동, 1940년대 단파방송 청취를 통한 조선독립 유포 활동[생애 및 활동사항] 1894년 8월 2일 함경남도 함주군(咸州郡) 삼평면(三平面) 원상리(元上里)에서 태어났다. 호는 평 |
|
|
|
조선의 건국과 발전 핵심용어
|
위화도 회군으로 정권을 잡은 신흥 무인 세력과 급진파 신진 사대부는 토지 개혁을 실시하고 조선을 건국하게 되었어요. 조선은 유교 사상을 통치이념으로 삼고 이를 토대로 정치·지방·군사·교 |
|
|
|
경북 영덕군
|
포항에서 7번 국도를 따라 북쪽으로 올라가면 나타나는 항구가 대게로 유명한 ‘강구항’이다. 입구 강구다리 중간쯤에 커다랗게 설치된 대게 조형물이 예사롭지 않다. 이곳이 대게의 유통중심지 |
|
|